티스토리 뷰
부산에서 대중교통비 환급받으셨나요?
45,000원까지 환급받는 동백전 교통카드(동백패스)로 매달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 신청방법부터 2025년 하반기 최신 환급 조건과 주의사항, 자주 묻는 질문까지 한 번에 확인하시고 5분이면 신청 완료, 다음 달부터 환급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!
🔵 동백전 교통카드(동백패스)란?
동백전 교통카드(동백패스)는 부산시가 2023년 8월 전국 최초로 도입한 대중교통 통합할인제입니다.
부산 내 시내버스, 마을버스, 도시철도(1~4호선), 부산김해경전철, 동해선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한 다음 달에 최대 45,000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✔️ 적용 교통수단
: 부산시 등록 시내버스/마을버스, 도시철도 1~4호선, 부산김해경전철, 동해선(양산. 김해. 울산 구간 포함)
✔️ 제외
: 2000번 버스, 타 지역 등록 버스(양산, 김해, 울산 등)
✔️ 카드 종류
: 후불형(부산은행, 하나카드, 농협은행), 선불형(부산은행)
👉 동백전 카드 종류 확인하러 바로가기
✔️ 발급 방법
: 동백전 앱 신청(3~7일 소요) 또는 해당 은행 방문 즉시 발급
🔵 신청 및 발급 방법
● 동백전 앱 설치 및 회원가입
👉구글 스토어 동백전 설치 바로가기
👉 앱 스토어 동백전 설치 바로가기
● 카드 발급 신청(앱 또는 은행 방문)
● 동백전 앱에서 동백패스 가입
● 실물 카드 수령 후 교통수단 이용
● 다음 달 15일경 환급금 확인
자세한 신청방법과 사용법이 궁금하시다면?
👉 동백전 교통카드 신청방법 & 사용법 확인 바로가기
🔵 2025년 하반기 환급 구간별 조건
구분 | 월 이용 요금 | 환급금(최대) |
성인 | 45,000원 이하 | 0원 |
45,000원 초과 | 45,000원 | |
청소년(13~18세) | 25,000원 이하 | 0원 |
25,000원 초과 | 25,000원 |
✔️ 환급일
: 매월 15일경, 전월 실적 기준 동백전 정책지원금으로 환급
✔️ 환급방식
: 동백전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(대중교통 요금 결제에는 사용 불가)
✔️ K-패스와 중복
: 동백패스와 K-패스 혜택 중 더 큰 금액으로 자동 환급
🔵 주의사항
● 동백전 앱에서 동백패스 가입 필수
: 단순히 카드만 발급받아서는 환급 불가
● 실물 카드 사용 필수
: 모바일 결제(삼성페이 등)는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음
● 2인 이상 동시 결제 시 환급 불가
: 부정사용 방지 목적
● 카드 변경 시 익월부터 환급 적용
● 환급금 사용처 제한
: 동백전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, 대중교통 요금 결제 불가
● 모바일/실물카드 동시 사용 시
: 이용실적이 큰 쪽 기준으로 환급, 합산 불가
❓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동백패스 환급금은 어디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?
A. 동백전 정책지원금으로 환급되며, 동백전 가맹점(편의점, 마트 등)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단, 대중교통 요금 결제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Q2. 모바일 카드로만 이용해도 환급이 되나요?
A. 환급 실적은 실물 카드 사용분만 인정됩니다. 모바일 결제(삼성페이 등)는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. 단, 2025년 7월부터 모바일 카드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나, 실물/모바일카드 중 이용실적이 큰 쪽 기준으로 환급합니다.
Q3. K-패스와 동백패스를 동시에 신청해도 되나요?
A. 두 제도를 모두 신청할 수 있지만, 혜택은 중복 적용되지 않고 더 큰 금액으로 자동 환급됩니다.
Q4. 환급금이 0원인 경우는 언제인가요?
A. 성인은 월 45,000원 이하, 청소년은 월 25,000원 이하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 환급금이 없습니다.
Q5. 타 지역(양산, 김해, 울산 등)에서 동백패스 환급이 가능한가요?
A. 부산시 등록 교통수단 이용분에 한해 환급됩니다. 타 지역 등록 버스 이용분은 환급 대상이 아닙니다.
2025년 6월 현재, 동백전 교통카드(동백패스)는 부산 시민이라면 반드시 챙겨야 할 대중교통 환급제도입니다.
월 45,000원까지 환급받아 교통비 부담을 확실히 줄일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. 지금 바로 동백패스 신청하고, 매달 환급 혜택을 받아보세요!